http://www.idreambank.com/news/articleView.html?idxno=75696
계양구 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 및 인지강화’를 위한 재택학습 자료 제공 - 한국분양정보
[한국분양정보] 인천 계양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확산 방지 및 취약계층 감염 예방을 위해 최소한의 돌봄기능을 제외한...
www.idreambank.com
https://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311
치매독거 할머니 20년 만에 가족 품에 - 일간경기
강화군 강화읍사무소 맞춤형복지팀의 도움으로 가족과 단절됐던 치매독거 할머니가 20년 만에 가족의 품에 안겼다.강화군단군콜센터에서 독거노인 할머니(83세)와 안부전화 중 생활이 많이 어렵다는 걸 인지하고 ...
www.1gan.co.kr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8253
인천시 치매등록률 40%대로 지지부진…등록률 제고 방안 논의 필요 - 경기일보
인천의 치매등록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18일 시에 따르면 2017년부터 치매국가책임제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치매등록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사는 ...
www.kyeonggi.com
치매안심센터
전문성 미래역할
https://gyeonggi.nid.or.kr/center/etc/view.aspx?sec=002001001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치매 원인, 증상, 예방법 등 안내, 상담 제공
gyeonggi.nid.or.kr
사업안내
치매가 자연스러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기도광역치매센터가 진행하는 사업안내도입니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치매의 진행단계에 따라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 친화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여 경기도의 치매관리 기본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치매 환자와 가족을 포함해 모든 도민의 행복에 기여하는 치매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치매에 대한 미래지향적 해결책 마련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합니다.
지역중심 맞춤형 서비스 제공Providing community based customiged service
치매예방, 조기발견, 진단, 케어관리 등 치매의 진행과정에 따른 환자와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반 조성
- 치매 예방 교육홍보 및 조기발견 지원
- 치매 환자의 기능유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치매 가족 지원 프로그램개발 보급
지역 사회 치매관리 역량강화 지원Resources empowerment through networking
보건소를 중심으로 병의원, 요양시설 등 지역사회 치매관리 자원에 대한 교육, 홍보, 기술지원, 평가를 통해 실질적 치매관리 역량 향상
- 지역중심 치매 전문인력 교육훈련 강화
- 광역단위 치매관리사업 체계 확립
치매 친화적 사회환경 조성Making dementia friendly society
치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 환자와 가족이 사회와 소통하는 통로를 확보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함.
-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 제거를 통한 인식개선
사회자원 협력을 통한 치매 환자와 가족의 사회활동 지원
비전 및 운영체제
비전
경기도 광역치매센터의 비전 모델
경기도 광역치매센터의 운영체제
치매관리
- HOME
- 보건사업
- 치매관리
- 치매인식개선사업
- 치매예방교실 운영
- 전문의 치매진단검사의 날 운영
- 치매조기검진사업
- 맞춤형 사례관리
- 치매환자 쉼터 운영
- 치매안심돌봄터 운영(주간보호)
- 치매가족지지 서비스
- 치매환자 등록관리
- 실종예방사업
치매인식개선 사업
- 치매극복의 날 기념행사
- 기간 : 치매극복의 날 (9.21)전후 1주일 내 지정
- 대상 : 주민 및 치매파트너, 환자, 환자가족
- 내용 : 캠페인, 치매 한마음걷기, 가족Day운영 등
- '치매! 함께해서 행복해요' 송년 발표회
- 기간 : 매년 12월 중
- 대상 : 환자, 그 가족 및 주민
- 내용 : 작품전시·장기자랑 및 가족소감 발표
- 문의 : 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교실 운영
- 샤방샤방 뇌 건강교실
- 일반군 프로그램
- 기간 : 연중
- 대상 : 60세 이상의 지역주민
- 장소 : 치매안심센터 프로그램실
- 내용 : 치매이해 및 예방교육, 치매상담 및 선별검사, 정보제공 등
- 비용 : 무료
- 고 위험군 프로그램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고위험군 (만 75세 진입자, 만 75세 이상 독거노인) 조기검진 인지저하자
- 장소 : 치매안심센터 프로그램실
- 내용 : 인지훈련, 작업치료, 운동치료, 전산화인지재활, 낙상예방 등
- 비용 : 무료
- 지역중심 치매예방교실 “치매 뚝! 인천이 간다"
- 인천 : 인지 치료하는 천사
- 목적 :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에 출장이동교실 제공으로 치매를 예방하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 기여
- 대상 : 5개 지역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불은면, 삼산면)
- 비용 : 무료
- 문의 : 치매안심센터
전문의 치매진단검사의 날 운영
- 기간 : 매 주 2회(월요일 오후, 목요일 오전)
- 장소 : 치매안심센터
- 대상 : 치매선별검사 결과 ‘인지저하’ 이거나 치매 의심증상이 뚜렷한 자, 치매환자 가족
- 진행 :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내용 : 전문의 진찰, 치매척도검사, 노인우울척도검사, 일상생활척도검사 등 실시, 가족상담
- 비용 : 무료
치매조기검진사업
- 기간 : 연중
- 대상 : 만 60세 이상 강화군 모든 주민
- 절차
-
1.치매선별검사MMSE-DS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출장검진 -
2.진단검사 (신경인지검사LICA, 협력의사 진료 등)
치매안심센터 -
3.감별검사 (혈액검사 및 뇌 영상 촬영)
강화병원
-
- 비용 : 무료
맞춤형 사례관리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
- 내용 : 대상자의 욕구 및 문제 사정을 통해 건강관리, 일상생활관리,
가정내 안전관리, 가족지원 등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치매환자 쉼터운영
- 목적 : 낮시간 동안 치매환자를 보호하여 치매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도모와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
- 기간 : 연중/ 주 5일, 오전 10시~ 오후 4시(공휴일 제외)
- 장소 : 북부인지건강센터 1층(하점면 보건지소 옆 건물)
- 대상 : 강화군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로서, 장기요양서비스를
포함한 국가 지원서비스 신청 대기자, 미신청자 - 내용 : 일상생활동작 훈련, 현실인식훈련, 감각훈련, 음악치료, 인지자극 치료 등
- 이용료 : 무료(송영서비스 제공)
치매안심돌봄터 운영(주간보호)
- 기간 : 연중/ 주 5일
- 장소 : 치매안심센터 1층
- 대상 : 28명(치매인지지원등급자 및 5등급자)
- 치매안심센터 등록자 중 국민기초생활 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우선 입소 - 내용 : 주간돌봄 및 인지재활 프로그램 실시
- 방법 : 위탁운영
- 이용료
-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 무료
- 일반인 : 월 12만원
치매가족지지 서비스
- 가족카페 운영
- 기간 : 연중
- 대상 : 관내 치매환자 가족, 치매환자, 65세 이상 노인
- 내용 : 치매환자 및 가족의 휴식, 가족간 교류 등
- 방법 : 뇌파측정 후 VR치유프로그램 활용 등
- 치매환자 가족교실 운영
- 기간 : 연2회
- 대상 : 관내 치매환자 가족
- 내용 :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 치매 치료와 관리,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 방법 학습 및 응용 등
- 비용 : 무료
- 치매가족 자조모임 지원
- 기간 : 연4회
- 대상 : 관내 치매환자 가족
- 내용 : 치매관련 기사 및 정보제공 등
치매환자 등록관리
-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 기간 : 연중
- 대상 : 강화군 주민(주민등록 기준)으로 치매진단자 중 만60세 이상의 치료투약환자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120%이하인 경우(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 내용 : 치매치료를 위한 진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월 3만원 한도)
- 장소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 절차 : 신청서 제출 후 심사를 거쳐 3개월 후 지급
- 제출서류
-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신청서 1부
- 진단서 또는 소견서 1부
- 약 처방전 1부
- 통장사본 1부(통장사본이 대상자 통장이 아닐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행정정보 공동 이용 사전동의서 1부
- 19년도 치매치료관리비지원 대상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단위 : 원)가구원 수1인2인3인4인5인6인7인8인9인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66,173
(71,804)113,335
(122,980)146,494
(158,961)180,259
(195,599)213,859
(232,058)248,424
(269,565)283,533
(307,662)326,151
(353,906)348,036
(377,654)25,519
(27,691)104,203
(113,071)147,114
(159,633)187,654
(203,623)229,322
(248,837)271,339
(294,430)308,578
(334,838)355,813
(386,093)380,294
(412,657) - ※( )안은 노인장기요양보험료 포함 금액
- 조호물품 지원
- 목적 :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라 돌봄에 필요한 물품을 무상공급하여 가족의 경제적 부담경감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센터 등록된 치매환자
- 물품종류 : 실버보행기, 영양제, 물티슈, 기저귀
실종예방사업
- 목적 : 치매실종노인의 조속한 발견과 복귀를 지원
- 기간 : 연중
- 대상 : 실종이 우려되는 등록 치매환자
- 내용 :
- ① 위치추적기 : kt 통신과 협약을 통한지원
- GPS단말기 지원
- 월/8,800~10,000원내 통신료 지원
- 시설입소 등 보호자 취소 시 지원종료
- ② 배회인식표 : 회당 인식표1BOX(80매)지원
- ③ 지문등록 : 강화경찰서와 협약 진행(상반신 사진과 지문, 보호자 연락처 등록 등)
- ① 위치추적기 : kt 통신과 협약을 통한지원
- 수행기관 : 치매안심센터, 경찰서, KT
'Future 미래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는 끝이 없다 연구와 실행뿐 (0) | 2020.04.04 |
---|---|
치매 전문 온라인 매체, 디멘시아 뉴스 (0) | 2020.04.04 |
무인이동체 관련 (0) | 2020.04.02 |
[dr.cho] gift 감사합니다. (0) | 2020.03.31 |
[과기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공모 (0) | 2020.03.25 |